![]() |
![]() |
MG손해보험이 새 주인을 찾지 못한 주요 원인으로 노동조합의 반대가 지목되고 있다. 금융당국과 메리츠화재의 협상 과정에서 노조는 '전 직원 고용승계' 요구를 고수하며 사실상 협상 자체를 거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12월 MG손보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지만, 노조는 실사를 막아 두 달간 절차가 지연되었다. 이후 메리츠화재가 고용 조건 및 위로금 협상을 제안했으나, 노조는 끝까지 이에 응하지 않았다. 금융권에서는 “노조가 처음부터 협상 의지가 없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야권의 개입도 논란이 되고 있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메리츠화재에 대한 특혜 의혹을 제기하며 매각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일부 야당 인사들은 특정 은행을 인수자로 검토하라는 요구까지 했다.
결국 메리츠화재마저 인수를 포기하면서 예금보험공사는 추가 인수 희망자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지만, 보험업계에서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매각이 실패하면 MG손보는 청산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른 피해는 계약자들에게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MG손보 계약자는 약 124만 명에 달하며, 특히 고령층이나 병력이 있는 계약자들은 다른 보험사에서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다만, 이번 사례가 보험업권 내 다른 M&A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우리금융의 동양·ABL생명 인수처럼 명확한 사업 목적이 있는 경우, MG손보 사례와 별개로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서! 매각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조6천억원 유상증자 결정 – 글로벌 방산·조선해양 시장 공략 (5) | 2025.03.20 |
---|---|
실업급여 반복수급자 대상 정책 변화 및 실업인정 기준 강화 (1) | 2025.03.20 |
미주도 러우전쟁 휴전안 합의? 러시아 수락만 남아 (5) | 2025.03.12 |
사망보험금 유동화 무슨 변화가 있을까? (11) | 2025.03.11 |
이차전지 화재 막을 신기술 (10) | 2025.03.10 |